고등어‧오징어 소비자가격 평년대비 20% 이상 올라 기상악화로 조업 감소에 기후변화까지…어장 지도 변해
고등어와 오징어 등 밥상에 자주 등장하던 대중성 어종들의 생산량이 지난달 크게 줄어 수산물 물가도 함께 뛰었다.
24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고등어 생산량은 5천608톤으로 전달보다 72.5% 감소했다. 이는 작년 대비 38.1%, 평년 대비 10.9% 감소한 수치다.
폭설과 한파 등 기상악화로 조업 일수 감소와 어황 불황 등이 겹친 고등어의 지난달 산지 가격은 kg당 5천937원으로 전달보다 28.4% 올랐다. 소비자가격은 kg당 1만3천620원으로, 평년과 작년 대비 각각 21.8%, 23.3% 올랐다.
오징어의 생산량 역시 지난 1월보다 91% 감소한 194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0%, 평년 대비 91.3% 감소한 수준이다. 센터 관계자는 동해 중남부 해역에 오징어 어장이 형성됐지만, 자원 밀도가 낮아 생산량이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산량이 준 오징어의 산지가격은 kg당 8천59원으로 전달 대비 18.3%, 작년과 평년 대비 각각 50.9%, 70.7% 올랐다. 소비자가격은 평년과 작년에 비해 각각 36.7%, 10.7%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해수부에 따르면 대중성 어종의 생산량 감소는 기상으로 인한 조업일 감소와 기후변화의 영향 때문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통상 2월에는 기상이 좋지 않아 생산량이 줄어드는데, 지난달에는 특히 기상이 나빠 조업을 나간 날이 5일 미만인 어민도 있었다”고 부연했다.
기상변화로 인한 고수온 현상으로 어장이 이동하고, 형성된 어장에도 수산물 밀도가 낮은 점도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3일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은 ‘아열대화 영향 기후변화축 해양생태계 먹이망 구조 연구’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고수온화로 인해 주요 수산자원이 북상하고 아열대 종이 유입됐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다만 해수부는 3월부터는 어황이 개선되면서 생산량이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공급망이 안정될 때까지 비축 물량을 풀고 할인 행사를 진행하면서 물가 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