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지지대] 전동킥보드 유감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image

위험하다. 운전자 입장에서도 그렇지만 보행자에게도 마찬가지다. 전동킥보드로 대표 되는 개인형 이동장치(PM) 얘기다. 이와 관련된 교통사고의 35%를 무면허 운전자가 일으킨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최근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이 발간한 학술지 ‘교통안전연구’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논문이 게재됐다. 연구팀은 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활용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PM 사고 관련 5천900여건의 데이터를 수집, 이 중 사고자 연령대가 확인된 5천860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는 20세 미만이 32.4%로 가장 많았고 20대 32.1%, 30대 1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은 5.5%에 그쳤다.

 

PM은 원동기 장치 자전거(16세 이상 취득 가능) 이상의 면허가 있어야 운전할 수 있다. 그런데도 사고의 34.6%(2천27건)는 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이들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무면허 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는 20세 미만이 67.6%, 20대 18.6% 등이었다. 연구팀은 “운전면허 취득을 유도해 적극적으로 운전자를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근 1년간 PM 이용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운전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용규칙에 대한 인지율과 준수율 등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준수율은 대부분 인지율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PM을 탈 수 있는 도로를 다니고 안전모를 착용한 채 운전하는 경우는 26.0%였고 승차 정원과 음주운전 금지 규칙을 준수하는 비율은 각각 77.0%, 82.0%인 것으로 나타났다.

 

PM 관련 안전교육이 시급하다. 단속 강화를 통해 음주운전, 동승자 탑승 등 PM 운전자의 법규 위반도 적극 관리해야 한다. PM 관련 사고를 예방하지 못하면 언제 대형 사고로 이어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