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 대심도 지하터널 대피 안내 '고속주행 로봇' 개발

충북 오송 철도연 철도종합시험선로 터널 구간에 설치된 피난안내 주행로봇.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충북 오송 철도연 철도종합시험선로 터널 구간에 설치된 피난안내 주행로봇.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터널이나 지하철도 구간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침수 등 각종 재난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고속주행 영상관제로봇(이하 주행로봇)’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철도연에 따르면 오는 30일 예정된 GTX-A노선 수서~동탄이 개통되면 본격적인 대심도 철도시대가 열리는데 대심도 철도는 지하 40m 이상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화재 등 사고가 발생하면 자칫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재난상황 대비가 매우 중요하다.

 

이 같은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철도연은 터널이나 지하철도 구간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침수 등 각종 재난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주행로봇을 개발했다.

 

주행로봇은 터널 측벽에 부설된 간이 궤도를 고속으로 주행하며 터널 사고현장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사고 발생 5분 이내로 현장에 도착해 승객을 가장 가까운 대피통로로 안내한다.

 

또 고해상 광학 및 열화상 카메라로 취득한 사고현장의 영상과 음향정보를 철도운영관제실과 유·무선 이중통신으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배치 간격은 3㎞, 주행속도는 시속 20㎞ 이상, 스피커와 광선을 이용한 발광 장비로 승객에게 대피 방향을 안내한다.

 

철도연은 화재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도 정상 작동하도록 모든 부품이 내열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평상시는 주행로봇을 지하터널의 선로관리 등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관제 용도로 활용한다. 온도 및 습도,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가능해 지하환경도 관리하고 인공지능 영상분석 장치를 탑재해 터널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상상태 진단에도 사용할 수 있다.

 

주행로봇 개발은 현재 철도연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 터널 구간에 설치해 시험·운영 중이다.

 

이덕희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개발한 피난안내주행로봇의 특징은 탈착형 로봇구조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내열성이 높은 것”이라며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집중해 더 똑똑한 로봇으로 기술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한석윤 원장은 “향후 지하철도 등 다양한 지하 활동 공간이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피난안내 주행로봇이 철도 승객과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키는 스마트 안전기술의 핵심이 되도록 연구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