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절반 “상반기 퇴사 작년과 비슷해” 사람인 조사 결과
경기 침체 속 기업 절반 가량은 올해 상반기 직원 퇴직율이 지난해와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사람인 HR연구소는 기업 347개사를 상대로 '2023 상반기 퇴사 현황'을 조사해 16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전체 기업의 46.1%는 전년 동기 대비 퇴사율이 '비슷하다'고 답했다. '늘었다'는 응답은 27.1%로, '줄었다'(26.8%)는 답보다 소폭 높은 수준이었다.
퇴사 사유는 '다른 직장으로 이직'이 57.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연봉, 지구 변경 등 근로조건 불만족'(24.8%), '본인 및 가족 신상 관련'(7.2%), '휴식'(4%), '구조조정 등 회사 관련 사유'(3.5%) 등 순이었다.
직원들 퇴사는 기업 규모와 업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100인 이상 기업은 '늘었다'는 답변이 30.9%로, 100인 미만 기업(24.5%)보다 6.4%p 높았다.
업종별로는 3~4차 산업인 '유통·바이오' 업종(30.3%)이 2차 산업인 '제조·건설'(23.5%)보다 '늘었다'는 응답이 6.8%p 많았다.
이 가운데 퇴사자가 생기며 발생하는 결원에 대해 전체 대상 기업 10곳 중 4곳(41.2%)은 '충원하지 않거나, 정원을 줄여 일부만 충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원을 충원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그 대책으로 '업무 축소 및 효율화'(27.3%)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잔업 야근 등 재직자들을 추가 투입'(26.6%), '조직 및 직무 개편'(25.2%), '임시직 고용'(11.9%), '업무 아웃소싱'(4.9%) 등을 대신한다고 답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