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道, 문화재 보존에 1천억 투입

27개 사업 추진… 방치·소멸 위기 유·무형 문화재 관리

경기도가 훼손 상태로 방치된 외곽 문화재와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무형문화재(본보 1월26일자 1면)의 통합관리를 위해 1천여억원을 투입한다.

8일 도가 발표한 ‘2021년 경기도 문화재 보존 시행 계획’에 따르면 올해 문화재 총 1천156건에 대해 4개 과제, 27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4개 과제는 △문화유산의 합리적 보존 및 전승(2억원) △문화재의 체계적 보수 및 관리(810억원) △문화유산 향유와 세계유산 관리 및 등재(175억원) △무형문화재 전승 활성화(94억원)다.

953개소의 유형문화재를 관리하는 문화재 돌봄사업은 사업단 인원을 55명에서 61명으로 늘리고 예산도 4억원 확대했다. 1인당 17개 이상의 문화재를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해소돼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진다.

도는 다음 달 초부터 전반적인 문화재 수리에 나서며, 상시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 방안도 마련한다.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무형문화재 전승 활성화를 위해 전체 78개 종목 중 기능 보유자와 전승교육사가 없는 6개 종목 보유자 심의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오는 5월 전승교육사에 준하는 역량을 가졌다고 인증된 이수자를 전승교육사로 지정한다.

기능 보유자가 이수자에게 발급해 온 전수교육 이수증도 올해부터는 도에서 직접 발급한다. 도제식 전승의 폐해로 지적된 기능 보유자와 이수자 간 금전 유착을 막기 위해서다.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를 위해 공방개선사업과 문화예술교육사 배치사업도 전개한다. 사업 모두 공방 수리와 전수교육관 내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한다. 공방 수리는 국비와 시비가 각 50%, 문화예술교육사 배치는 국비 40%, 시비 60%로 진행되지만, 각 시ㆍ군에서 도에 신청해야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도는 시ㆍ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내년도 도비 지급 여부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계획을 통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지원금 증액과 전수장학생 제도 정착이 이뤄졌다”며 “올해도 문화재 보존과 전승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권재민ㆍ손원태기자

관련기사

[속보] 경기도, 문화재 24시간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