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속보] 경기도 공공기관 장애인 의무고용 미달 사태…기관별 일자리 매칭 사업으로 극복한다

▲ 경기도청

경기도가 산하기관의 장애인 고용 대책을 마련하기로 한(본보 2018년 12월 24일자 2면)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맞춤형 일자리 매칭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기관별 장애인 일자리 수요 등을 분석, 의무고용 미달 사태를 극복할 방침이다.

25일 도에 따르면 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도 및 공공기관 장애인 적합 직무개발 및 고용연계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이번 용역은 장애인 법정고용률 상승 추세에 발맞춰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도 산하기관들의 장애인 의무고용을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는 기관별 장애인 고용 관련 수요 등을 분석, 그동안 기관과 구직자가 원하는 조건이 달라 발생하던 ‘일자리 미스 매칭’ 현상을 해결할 방침이다.

실제로 연구원 등의 기관은 주로 석사급 이상의 인력을 주로 채용하지만, 이런 조건을 갖춘 장애인 구직자가 없어 어려움을 겪어왔다. 도는 용역을 통해 장애인 고용 저해요인, 기관별 특성에 맞는 환경 및 수요 등을 분석해 이 같은 문제를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장애인 고용유지기간이 짧았던 기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한다. 도는 용역을 통해 기관별 고용상태인 장애인 고용유지기간 조사, 기관별 현황 비교ㆍ조사 및 개선방안 도출, 장애당사자 면담 등을 실시해 해결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다음 달부터 진행되는 연구용역의 결과는 9월께 나오며, 올해 말부터는 각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공공기관 장애인 고용의 표본을 마련, 도 뿐만 아니라 타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산하기관에서 장애인 채용을 원하더라도 원하는 조건을 갖춘 구직자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용역은 원인 분석부터 매칭 방식까지 한 번에 찾는 만큼 그동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행 제도상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공공기관은 전체 근로자의 3.2%를 장애인으로 고용해야 하지만, 도 산하기관 중 일부는 지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재명 도지사는 장애인 등 의무고용 대상자의 고용률을 2020년까지 100%까지 끌어올리라고 지시한 바 있다.

 

김태희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