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경기일보 독자권익위 회의 “6·13 국민의선택 특집 인상적… 선거후 분석기사 부족 아쉬워”

‘카드 수수료’ 배경지식 없이 이해 어려워
“지방선거기간 지면들 정치 쪽에 집중
지역소식·문화 등 다양한 이슈 안보여”

▲ 27일 경기일보 회의실에서 열린 독자권익위원회에서 위원들이 6월 본보 편집내용 등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정민훈 기자
▲ 27일 경기일보 회의실에서 열린 독자권익위원회에서 위원들이 6월 본보 편집내용 등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정민훈 기자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6월27일 오전 11시 경기일보 소회의실

<참석자> 위원

이재복 수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교수

박성빈 아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조성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홍보팀장

김덕일 푸른경기21 녹색사회경제위원회 위원장

-27일자 10면 ‘신용카드 수수료 정률제 전환’ 기사는 친절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신용카드 수수료라고 하는 게 가맹점이 신용카드 회사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있고, 신용카드 회사가 밴사에 네트워크 이용료로 지불하는 수수료가 있다. 이 구조가 머릿 속에 들어있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기사다. 신용카드 회사가 밴사에 주는 수수료가 내려갔다는 것과 가맹점이 지불하는 수수료 등의 내용이 기사 내에 섞여 있다. 독자 입장에게 표 등을 통해 기사 내용을 보여줬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선거가 끝난 후 경기일보에 당선인의 사진을 많이 게재했다. 당선인이 궁금하기도 하지만 지면을 지나치게 낭비하는 것 같다. 사진 대신 선거에 대한 분석이 많이 필요해 보였다. 정당 비율이 과거와 현재 어떻게 바뀌었는지 등을 표나 그래프로 보여줬어야 했다. 학력, 시민단체 출신, 전과자 비율 등 당선인의 속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또 시장, 지사까지 분석이 될 수 있지만 시의회, 도의회 등도 분포율 분석이 필요하다. 정당 지지율대로 결과가 나온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전반적으로 당선인 인터뷰 내용은 좋으나 사진이 너무 커 보인다. 과거 해오던 방식이라면 재검토했으면 한다. 현재 수원시가 특례시를 이야기 하는 데 이와 관련된 후속기사가 있었으면 한다.

-국민의 선택 특집판이 계속 나오고 있다. 당선인의 소감, 역점사업 등을 잘 정리했다고 본다. 27일자 10면 ‘저소득 지역가입자 부담 크게 준다’ 기사는 그래픽이 첨부돼 보기 좋았다. 그래픽만 봐도 기사 내용을 한 눈에 알 수 있었다. 난해한 기사는 그래픽으로 전달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여승구 정치부 기자가 선거 이후 경기도를 정리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굉장히 정리를 잘했는데 경기도뿐만 아니라 다른 지자체의 사업, 정책에 대해서도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치 않나 싶다.

-6·13 지방선거 탓에 지면을 선거쪽으로 집중하다보니 나머지 것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졌지만, 선거가 끝난 후 경기일보는 정치, 경제, 지역 소식 등을 골고루 다루고 있다. 선거에 쏠리는 것이 아닌 다양한 주제를 다뤄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선거가 끝나고 자체적인 분석기사가 부족한 아쉬움이 있다. 선거 후 사회 현상에 대한 토론, 대담 등으로 선거를 정리해줘야 한다. 승리한 사람들의 이야기만 하는 게 아니라 소수 또는 소수를 지지한 시민들의 생각도 들어봐야 한다.

-굉장히 커다란 이슈가 있다. 남북과 북미의 관계다. 경기일보에서도 이와 같은 이슈에 대해 연구하는 코너를 만들면 괜찮을 것 같다.

-우리나라는 현재 IMF 이후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 이것이 정치적 이슈에 가려 실제로 경제적인 측면을 이야기 하는 게 너무 적다. 이 부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지역별로 창업과 폐업 등 관련된 통계를 찾아 시민들이 피부로 느끼게끔 보여줘야 한다.

-최근 많은 이슈에 가려져 문화예술계가 기사회생하지 못하고 있다. 단순히 ‘어떤 전시회를 개최한다’는 기사를 작성하는 것에 머무를 게 아니라 문화예술이 앞으로 가야할 방향을 짚어줘야 한다. 관광과도 직결되는 만큼 문화예술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G푸드 아울렛(6.7~6.11) 행사와 관련된 전면 기사 2회와 광고 등에 추가로 행사에 대한 평가나 효과 등이 추가로 기사화했으면 한다.

 

-6월15일자 농약허용물질관리제도(PLS)에 대한 기사는 향후 농민들의 농작물 재배관점과 소비자의 식품 안전의 문제등으로 좀더 심층적인 기사화가 요구된다.

 

-6월11일자, 6월19일자 친환경 농가와 농관원의 갈등 문제의 기사는 소비자 관점인 먹거리의 안전성 문제로 접근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5월31일자, 6월7일자 등 3차례에 걸친 평택 만호지구 도시개발 무산의 기사는 전략환경영향평가의 국내 첫 사례의 의미와 환경과 도시개발의 상호 연관성 관점에서 심층적인 추가 기사가 요구된다.

 

-선거 기사 관련해 5월28일자, 6월6일자, 6월7일자 등에서 직능단체의 후보자에 바란다 기사는 더 많은 직능단체의 의견이 실렸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6월21일자 ‘쓰레기 남기고 사라진 사회적기업 - 에코그린’ 기사는 한 사례를 넘어 경기도 사회적기업 전반의 문제로 예비 사회적기업과 인증 사회적기업의 생존률등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전반의 문제로 기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정리=정민훈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