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정책이 대입제도와 과외문제 등을 중심으로한 인문계 고교에 집중돼 있어 고교생의 35%를 차지하는 실업계 학생들이 소외당하고 있다. 더구나 1997년부터 시작된 무더기 미달 사태가 지금은 더 악화돼 학교의 존립마저 위협하는 실정이다. 정원미달을 막기 위해 학교 명칭을 정보산업고, 전자정보고로 바꾸는 등 이미지 변신을 시도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실질적인 교육내용엔 변화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재학생 관리에는 더 큰 문제가 있다. 인천시 교육청이 지난해 10월 시교육위원회에 제출한 ‘실업계고교 학생실태’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 30개 실업계고 학생 4만3천139명 중 23.5%인 1만152명이 1999년 들어 한번 이상 결석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업고 황폐화의 원인은 실업고를 졸업해도 마땅한 직장을 얻기 힘들다는 현실적 요인이 첫째다. 학생들은 취업을 해도 발전성이 없고 단순한 일만 배정받기 때문에 진학을 위해 학교대신 입시학원에 가는 경우도 많다.
실업고에 대한 정부의 무관심과 지원부족은 상황을 더 나쁘게 하고 있다. 1997년 203억원이던 실업고에 대한 예산지원이 1999년에는 19억원으로 줄었고, 1997년 4억원이던 기자재수리비는 1999년에는 아예 한푼도 책정되지 않았다. 실업고 붕괴를 막기 위해 교육부는 통합형 고교를 대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인문교육과 직업교육을 함께 하는 통합형 학교에서 1학년까지는 공통과정을 가르치고 2학년 때 학생들에게 인문계냐, 실업계냐를 선택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안은 학생들에게 진로선택을 좀 더 신중하게 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교육여건 개선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실업고가 존립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효용가치를 상실한 자격증 교육을 없애고 마이크로소프트 공인 자격증(MSCE)이나 정보검색사 등 실질적인 자격증 교육을 하고 미용·제빵·디자인 등의 직업교육을 학교에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물론 실업고에 대한 재정지원을 대폭적으로 늘려야 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