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가 청년과의 소통 및 청소년관장제 선도 지자체로 청년이 행복한 도시상 정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참여형 워크숍으로 ‘하남시가 묻고, 청년이 답하다(May I Help Youth?’)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총 16억원 규모의 주민참여 예산 중 1억원을 청년참여 예산으로 편성, 실제 수요자인 청년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하남지역 청년 20명이 참여해 내년도에 추진할 새로운 청년정책을 직접 발굴하고 제안하는 실질적인 소통의 장으로 이어졌다.
지난 12일 1차 워크숍은 하남시 청년정책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조별 토의를 통해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했다. 이어 26일 2차 워크숍은 주민참여예산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강의와 함께, 실제 제안서를 작성해보는 실습이 진행됐다. 청년들이 직접 작성한 제안서는 관련 부서의 검토를 거쳐 청년정책위원회(위원 21명)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주민참여예산위원회와 시의회 심의를 통해 2026년도 본예산에 반영될 예정이다.
하남시청소년수련관은 수도권 내 4개 청소년기관과 함께 ‘청소년관장제’를 주제로 한 교류의 장을 마련, 눈길을 끌었다.
이번 행사에는 하남시청소년수련관을 비롯 ▲중구구립중구청소년센터(서울 중구) ▲강동구립천호청소년문화의집(서울 강동구) ▲상록청소년수련관(경기 안산시) ▲의왕시청소년수련관(경기 의왕시) 등 총 5개 기관이 참여했다.
청소년이 직접 시설 운영에 참여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 한마당인 ‘청소년관장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들 기관들은 본격적 교류 활동에 앞서 이날 업무협약식을 체결하고 청소년관장들이 나서 자신이 속한 기관과 주도하고 있는 사업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청소년관장제는 하남시청소년수련관이 2020년 개관과 함께 전국 최초로 시행한 제도로, 타 시군구 청소년시설들이 벤치마킹하는 모델이 되고 있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청년은 하남의 성장을 이끌어갈 동력이며, 청년의 고민과 아이디어가 시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큰 힘이라 생각한다”며 “청년들의 제안이 실질적인 청년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 박채은 하남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관장은 “청소년이 스스로 주체가 돼 운영에 참여하고, 자신의 의견을 낼 수 있었던 점이 인상 깊었다. 앞으로 책임감을 갖고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하겠다”고 전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