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청소년을 정책의 수혜자가 아닌 주체로 전환하고, 참여와 복지, 학습, 공간 전반에 걸친 ‘광명형 청소년정책’을 통해 청소년 중심 교육도시로 나아간다.
황희민 광명시 평생학습본부장은 26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청소년은 두드림, 광명은 다드림’을 주제로 정책 브리핑을 열고 민선8기 핵심과제로 추진 중인 청소년정책의 주요 성과를 공유했다.
‘두드림’은 청소년이 정책에 참여할 기회를 뜻하고, ‘다드림’은 광명시가 그 기회를 적극 지원한다는 의미다.
시는 2023년 시장 직속 청소년위원회를 출범 시키고, 청소년이 직접 정책을 제안해 시정에 반영하는 구조를 마련했다. 9세부터 24세까지 참여 가능한 이 위원회는 첫해 29건의 정책을 발굴해 14개 부서에 제안했고, 이 가운데 3건이 조례로 제정됐다. 제정된 조례는 ▲강력범죄 피해자 의료비 지원 ▲청소년 심리적 외상 예방 ▲가족돌봄 청소년 지원 등으로, 청소년이 제안한 정책이 실제 제도로 이어진 사례로 평가받는다.
교육복지 분야에선 입학축하금, 교복비, 생리용품 지원 등 보편적 복지 제도를 운영 중이다.
2022년 시작된 입학축하금은 누적 수혜자 2만9천여명, 총 지급액 61억원에 이르며, 올해부터는 외국인 청소년까지 확대 적용됐다. 이 외에도 40만원 상당 교복 지원, 온라인 생리용품 몰 운영, 학교환경개선 사업 등이 진행 중이다.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도 확대됐다. 청소년복지심의위원회를 통한 맞춤형 생계 및 학업 지원, 진로탐색과 자립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엔 광명도서관에 청소년 전문 상담시설인 ‘광명마음숲상담소’를 열어 정신건강 지원도 강화했다.
디지털 전환 시대를 반영해 AI, 코딩, 빅데이터 등 디지털교육도 활성화되고 있다. 철산동 디지털혁신교육센터에서는 실습 기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교육과정엔 연간 수백명의 청소년이 참여하고 있다. 이 외에도 AI 진로탐방, 자율주행 로봇 코딩 대회 등이 청소년들의 창의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시는 청소년 특화공간 조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청소년예술창작소, 청소년활동센터 등 전용시설 운영은 물론, 광명동초 내 복합시설 ‘어울마당’과 학교체육관 개방 등으로 지역사회와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청과 함께 추진 중인 미래교육협력지구 사업과 진로진학상담센터, 장학금 지원 등도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참여와 복지, 학습, 공간을 아우르는 정책을 확장해 ‘청소년이 행복한 교육도시 광명’을 완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황 본부장은 “광명은 청소년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시정에 참여하는 새로운 정책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다드림 청소년 정책으로 청소년의 전 생애 주기 지원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교육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