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경 성공독서코칭센터 대표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일은 무엇일까. 올림픽에 나가 금메달을 따는 것, 자신에게 나쁜 짓을 저지른 이를 진심으로 용서하는 것, 그 밖에 자타공인 “진짜 어려운 일인데 그걸 해내다니, 대단해”라는 말을 들을 만한 것이라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일로 손꼽을 수 있다. 각자의 경험과 생각, 처지가 다르므로 그 어떤 것을 유일하다고 말하기 어렵겠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바로 자식을 반듯하게 키워내는 것이다. 세상에 태어나 부모가 된 이들 중 부모 연습을 충분히 해보고 부모 된 이가 누가 있으랴. 누가 바로 옆에서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려주는 것도 아니고 다 처음 해보는 것인데 그 과정이 어떻게 녹록하겠는가. 자식이 여럿인 경우라도 그 존재가 제각기이므로 첫째 키워냈다고 둘째가 쉽고 둘째 키워냈다고 그 아래 아이 키우기가 쉬울 리 없다. 다소 시행착오가 줄어들 뿐 매번 새로운 자식을 맞이해 새로운 육아를 하는 것이기에 부모 역할의 난이도가 줄어드는 건 아니다.
아이 문제로부터 기인한 가족 상담을 진행할 때면 혼란에 빠진 부모를 만나게 된다. “우리 아이는 원래 그런 애가 아닌데, 우리 아이가 아직 어려 뭘 잘 몰라서”라는 현실 부정에 빠지거나 아이의 잘못된 행동으로 인한 거센 후폭풍이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우리 애가 잘못은 했으나 책임지는 과정에서 혹여 상처받아 더 비뚤어질까 두려워서”라며 무조건적 보호 본능에만 충실한 부모를 볼 때면 안타깝다. 물론 어리고 몰랐다는 그 주장이 아예 틀린 말은 아니다. 어리고 몰랐기에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자신에게도 생채기를 남기는 잘못을 저지른 것이다. 부모 나이대의 어른도 아직 철없이 행동하는 이가 수두룩한데 인격 형성 중인 아이가 미숙한 행동을 하는 건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이라 말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 분명하게 옳은 가치의 기준을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 온 가족이 아이가 저지른 잘못을 들여다보며 직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매우 괴롭고 힘든 일이지만 상황을 피하려 하면 절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부모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아이도 다시는 그런 잘못을 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할 수 있다. 사랑하는 아이가 괴로워하는 걸 보면 부모의 마음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 부모가 흔들리면 아이는 바로 눈치채고 모면할 궁리를 하게 된다. 내 아이가 특별히 나빠서가 아니다. 나약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자신을 보호하려 자연스레 방어기제를 펼치는, 지극히 인간다운 대응일 뿐이다. 그럴 때마다 충분히 이야기하고 경청하고 또 관찰하면서 아이의 생각과 마음에 뿌리 내리려는 나쁜 씨앗을 솎아내야 한다. 아이의 행동이나 마음을 깊이 살피며 잘못된 행동에 대한 객관화 과정을 거쳐야 하고 그에 근거한 깊은 반성이 우선이다. 그래야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듯 잘못을 발판 삼아 더 반듯한 삶을 꾸려 갈 힘도 얻는다.
내 아이를 제대로 사랑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단 하나뿐인 정답처럼 명쾌하면 좋으련만. 흔들리지 않고 의지할 수 있는 커다란 기둥 역할과 안전하고 넓은 마음의 울타리가 돼 주며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을 해내는, 이 세상 모든 부모에게 응원의 마음을 보낸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