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주한 미국대사관, 신규 비자 신청·인터뷰 잠정 중단..."일정 유동적"

주한 미국 대사관. 연합뉴스
주한 미국 대사관. 연합뉴스

 

주한 미국대사관이 유학 신청자들의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를 잠정 중단했다.

 

앞서, 미 국무부가 유학 신청자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심사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 때까지 새로운 비자 인터뷰를 중단하라고 지침을 내린 배경에서다.

 

28일 주한미국대사관은 언론 공지문을 통해 "국무부의 비이민 비자 인터뷰 예약 일정은 유동적"이라며 “대사관 또는 영사관의 수용 능력은 영사들이 미국 법을 완전히 준수해 자신에게 주어진 건을 심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반영하며, 여기에는 신청자가 미국의 안보 또는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절차도 포함된다”고 했다.

 

다만 "비자 신청자는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라며 “영사과는 제출된 신청서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을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알렸으나, 온라인 시스템 외 별도의 방안은 전하지 않았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비자를 신청하는 외국인 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심사 및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해 영사 부서는 추가 지침이 담긴 별도 전문(septel)이 발표될 때까지 학생 및 교환 방문자 비자 인터뷰 일정 추가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며 각 공관에 지시한 바 있다.

 

2023년 10월 가자전쟁이 발발하면서 미국 일부 대학에서 반(反)유대주의나 친(親)팔레스타인 시위가 잇따랐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해당 시위에 참여한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심사 요건을 도입했다.

 

이후 시위에 참여한 유학생, 연구원 등의 비자를 취소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비자 신청 심사를 강화했다.

 

또한,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셜미디어 심사 의무화 제도 도입을 위해 별도의 추가 지침이 내려오기 전까지 신규 비자 인터뷰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현재 주한 미대사관의 온라인 비자 신청 시스템에서는 'F(학생)', 'M(직업 훈련)', 'J(교류)'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F 비자’는 미국 대학에 유학 및 연수를 위한 비자다. ‘M 비자’는 미국 교육 기관에서 직업 관련 수업·실습에 참여할 경우 받는 비자다. 'J 비자'는 교육·예술·과학 분야 교류를 위한 교환 방문자의 비자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