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직전까지 채권을 발행하며 자금을 조달한 것이 논란이 되고 있다. 국민 10명 중 7명은 홈플러스뿐 아니라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까지 조사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17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13~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8.7%가 MBK까지 조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반대는 19.1%, 모름·무응답은 12.2%였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달 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됐다. 이후 3월4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며 금융채무 원리금 상환을 중단했다. 문제는 신용등급 강등 사흘 전까지 카드대금을 기초로 한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는 점이다. 신용평가사가 사전에 조정 결과를 회사 측에 통보한다는 점에서, 홈플러스가 등급 강등을 미리 인지하고도 발행을 강행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민 69%는 홈플러스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MBK의 차입매수 방식에 대해서도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MBK는 홈플러스 인수 당시 7조4천억원 중 4조3천억원을 차입금으로 조달했고, 이후 홈플러스 자산을 매각해 상환했다. 이 과정에서 홈플러스의 경쟁력이 약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MBK는 고려아연 적대적 M&A에서도 같은 차입매수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까지 고려아연 지분 매입에 1조5천600억 원을 투입했는데, 이 중 75%가 대출금이다.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할 경우 해당 기업에 상당한 재무적 부담을 안길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사모펀드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의견도 높다. 설문조사에서 71.9%가 사모펀드 규제 강화를 지지했다. 현재 MBK와 같은 기관전용 사모펀드가 운용하는 자금은 약 136조원에 달하지만, 주주 구성, 의사결정 구조 등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많다.
한편 국회 정무위원회는 오는 18일 ‘홈플러스 사태’ 관련 회의에서 김병주 MBK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김 회장은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참을 통보했다. 이에 사모펀드 규제 강화를 요구하는 여론이 더욱 커지고 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