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로 방치했던 월미바다열차가 지난 8일 운행을 시작했다. ‘월미은하레일’이라는 명칭으로 2008년 착공해 2009년 7월 ‘인천도시축전’에 맞춰 개통할 예정이었던 이 열차는 10년만에 운행하게 됐다. 그러나 개통 다음날인 9일 오후에 2차례나 열차운행이 중단됐다. 차량 하부에 이상음이 발생하면서 안전요원이 열차 운행을 강제로 멈춘 것이다. 다행히 인명피해가 없었지만 승객 50명이 높이 10m 열차에 갇혀 21~25분간 불안에 떨었다.
인천교통공사는 이번 사고의 원인이 동력전달장치(모터)의 기어 마모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고 후 즉시 예비 부품으로 교체해서 운행 중이나 안전 불감증에 대한 대대적인 혁신이 요구된다. 특히 시운전 기간에 같은 원인으로 열차가 멈추는 사고가 발생해 부랴부랴 부품을 교체한 사례가 있는데도 일부 부품을 교체하지 않은 것은 어떤 말로도 변명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교통공사는 월미바다열차로 다시 태어난 과거의 ‘월미은하레일’의 경험을 까마득히 잊은 듯하다. 말 그대로 안전 불감증의 늪에서 조직적으로 헤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든다. 2010년 시운전에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해 개통하지 못해서 애물단지로 전략해 재정을 낭비하는 등의 우여곡절 끝에 재탄생했다. 그동안 투입된 세금은 1천억 원에 달한다. 이에 더불어 행정력의 낭비와 시민의 불신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기회비용을 치른 사업이다. 따라서 월미바다열차는 인천 안전행정의 상징으로 특징되는 사업이다.
안전이 최우선되는 시점에서 인천교통공사의 안전 불감증에 대한 책임은 무한함을 명심해야 한다. 사고 이후 자체적으로 전반적인 조사에 착수했고 조사결과 응분의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시민안전검증단’을 출범시켜 시민들이 안전·편의성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빠른 수습방안을 제시하여 대처하고 있으나 사후약방문에 그치지 말고 무너진 신뢰회복과 안전우선의 행정에 기관의 사활을 걸고 매진해야 할 때이다.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지난 2016년 발생한 지하철 2호선 탈선사고를 숨기기 위해 모의훈련으로 조작하고 상부기관에 허위보고를 한 과거이다.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공기업의 사고 조작과 허위보고는 인천교통공사가 늘 안고 가야하는 업보로 안전을 위한 시금석으로 삼아야 한다. 시운전에서 밝혀진 마모문제를 대충 넘기는 이번 사고는 3년 전의 사태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직시해야 한다. 불과 3년 전의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사사례가 발생하는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조직의 심각한 기강 해이로 대대적인 혁신 조치가 우선돼야 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