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4년 이전까지만 해도 1천600m(1마일)는 경기장 4바퀴, 400m 4번, 4분, 즉 4-4-4라는 숫자는 육상경기가 만들어진 2천 년이래 넘지 못할 한계의 숫자라고 정해져 있었다. 또한, 의학계에서는 1마일을 4분 안에 달린다면 인간의 폐와 심장, 근육, 인대가 파열되고, 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찢어진다는 연구가 나와 4분에 대한 도전은 곧 죽음에 도전하는 것과 마찬가지라 하여 도전조차 못하였다. 당시에 어떤 시인은 “4분에 1마일, 이 수치는 너무도 탁월한 완벽함을 지녀서 처음부터 신이 인간의 한계로 설정해 놓은 듯하다”고 까지 했다.
이처럼 결코 넘을 수 없었던 거대한 4분의 장벽을 1954년 5월6일,로저 베니스터라는 선수가 3분59초4를 기록하며 기적을 만들어냈다.
4분 벽을 깨고자 죽음을 각오하고 달려 신기록을 작성 후 극심한 육신의 고통을 겪은 후 터질 것만 같았던 심장과 근육을 움켜잡은 그는 의식을 잃고 쓰러지고 말았다. 놀랍게도 죽을 것만 같았던 그의 신체가 멀쩡하자 자신도 사람들도 모두 놀랐다. 그런데 더 놀라운 일은 그다음에 벌어졌다. 1마일 돌파한 소식이 전 세계 신문의 1면을 장식하자 이 소식을 접한 다른 선수들이 너도나도 이 기록에 도전하여 불과 두 달 만에 10명의 선수, 1년 후에는 37명의 선수, 2년 후에는 무려 선수 300명 이상의 선수들이 가뿐하게 벽을 넘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기에 단기간에 많은 선수가 이런 기록을 만들어 내수 있었을까? 혹시 모두가 넘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4분 마의 장벽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일까? 불가능한 것이라고 여겨 시도해보지도 않던 던 기록의 한계를 깬 사람들을 ‘베니스터의 기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로저 베니스터가 극복할 수 있었던 마음의 장벽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두려움의 장벽이다. 마의 4분이라는 벽은 죽음의 벽이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만들어낸다. 넘을 수 없는 기록 앞에 서면 많은 두려움과 어려움의 장애물을 만나게 되는데 그 가운데 어떤 태도를 보일 것인지 100% 스스로 선택하기 때문에 장벽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 기록에 대한 두려움은 거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일어날 일마저 겁을 먹게 만든 거다.
의대생이었던 로저 베니스터는 4분의 벽을 깨는 순간 자신의 신체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 그렇지만, 아무렇지도 않은 자신의 신체를 보면서 두려움이라는 것은 감정이고 이것 역시도 상대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깨달았다. 현재는 육상선수 10명 중 7~8명이 1마일, 4분 이내에 주파하고 있다.
두 번째는 훈련의 장벽이다. 로저 베니스터의 마의 4분 벽 달성은 연습과 훈련의 혁신에서 나왔다. 그는 의대생답게 자신의 신체 변화와 동작의 움직임에 대하여 연구하고, 1마일을 4개 구간으로 나눠 전력질주,중간 2분간 휴식, 전력 질주로 속도와 거리의 역량을 최대화시키는 방법으로 신체 변화와 한계를 극복해 낼 수 있는 스퍼트(spurt)와 훈련 방식을 개발하여 훈련하였다.
로저 베니스터는 단순히 4분 안에 1마일을 뛴 것이 아니었다. 그전까지 인류의 관념들이 만들어낸 그 한계를 뛰어넘겠다고 선언했고, 그것이 가능하다고 믿고 훈련하고 실천했기 때문에 만들어낸 기적인 것이다.로저 베니스터는 이렇게 말하였다. “여러분이 꿈을 이루면 그것은 또 누군가의 꿈이 된다. 그 꿈을 이루는 일은 결코 외롭지 않은 물결로 만나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 우리는 살면서 수없이 많이 ‘안 될 거야’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나는 학력이 달려서, 나는 외모가 안 돼서, 나는 받쳐주는 사람이 없어서….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 벽을 넘는 사람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 아무도 할 수 없다고 믿는 마음의 장벽을 돌파할 수 있는 사회와 사람이 되기를 바라본다.
김도균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교수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