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선생 뜻 품고, 통일 한반도 주역으로”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인천은 김구 선생의 남북통일과 평화에 대한 불굴의 의지를 어떻게 품고 펼쳐나가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하면 모든 국민이 ‘김구’와 ‘상해’ 등을 떠올린다.
특히 김구와 인연이 깊은 인천은 그의 정신을 살려 미래 100년을 열어 나가야 한다.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한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국민인식 여론조사’ 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는 김구(31.4%), 상해(11.4%), 이승만(2.7%) 등의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임정의 수립과 정통성, 대외 영향력을 확보하는데 김구 선생의 의지와 노고가 절대적이었다는 반증이다.
김구 선생이 가진 불굴의 의지와 한반도 통일평화에 대한 사명감은 어디에서 만들어졌을까.
그의 인생 역정과 인천의 역사가 닮아있는데 주목해야 한다.
1919년 상해 임정으로 떠나기 전 김구 선생은 1887년과 1914년 애국 활동으로 2번이나 인천 감옥에 갇혔고 한국 독립과 평화에 일생을 바치려는 뜻을 보였다.
인천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신문물과 외세의 침략을 직접적으로 겪은 경험이 있다.
또 고려시대 때는 왕이 인천으로 피난해, 수십 년간 몽골의 침입에 대항했던 역사도 있는데 이 부분이 김구 선생에게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와 함께 김구 선생이 암살된 후이지만, 인천은 한국전쟁(6.25) 때도 전쟁의 중심에 있었고 북한의 연평도 포격, 천안함 사건 등으로 항상 분단과 긴장 상태의 지역으로 남아있다.
이용헌 인천시 남북교류협력담당관은 “김구 선생이 인천 감옥에 수년간 갇혀 있으면서 인천의 역사적 특성을 통해 본인의 사명감을 되새겼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광복 이후 인천을 찾아 통일 한국, 평화 통일을 외쳤다. 김구 선생의 정신을 통해 인천이 남북평화 의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한민국 전체에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2월 정부 여론조사에서 또 주목해야 할 부분은 100년 후 우리나라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둬야 할 영역에 대한 질문이다.
경제성장(23.5%), 국민갈등 해소(15.9%), 남북군사 대치 해소(13.8%), 국제적 영향력 증대(11.7%) 등의 답변이 나왔다.
남북 경협은 경제성장과 남북 대치를 없애는 지름길이다.
수출 경제인 대한민국은 글로벌 경제난에 체감 경기가 나아지지 않고 있고, 저출산 등 인구절벽으로 생산 가능 인구마저 2020년부터 매년 33만명씩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인천과 가장 가까운 북한 황해도는 같은 수로 경제권으로 활발히 교류했다.
특히 황해도는 김구 선생의 고향이고 인천은 주된 활동지로서 인연도 깊다.
전문가들은 분단과 긴장의 최전선인 인천이, 남북 교류 활성화 및 통일 이후 경제 성장과 교류의 중심이 되고자 김구 선생과 같은 사명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락기 인천역사문화센터장은 “멀리 갈 필요없이 김구 선생의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염원을 황해도와 인천은 공유할 수 있다”며 “분단 전에 이곳은 같은 민요를 부르고 같은 경제권을 형성해 융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이 김구 선생의 평화·통일에 대한 정신과 지향점을 어떻게 배우고 퍼뜨릴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때다”라고 덧붙였다.
주재홍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