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무공천 약속 불이행’ 역공 우려한 듯
6ㆍ4 지방선거에 기초선거 공천을 폐지키로 한 새정치민주연합이 기초의원 비례대표 공천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어 비례대표 출마 희망자들이 혼선을 겪고 있다.
2일 새정치민주연합의 한 관계자는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문제에 대한 대여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는 데다 광역단체장과 광역의원 후보 경선에 대한 경선룰 협의를 우선적으로 진행하다 보니 기초선거 비례대표 공천 여부에 대한 논의는 아직 유보적인 상태”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이 기초선거 비례대표 공천 여부를 확정짓지 못하는 이유 중에는 새누리당이 기초선거 공천 폐지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며 역공세 모드로 전환할 것을 우려하는 것도 포함돼있다.
이미 새누리당 유기준 최고위원이 최고위원회의에서 “김한길ㆍ안철수 공동대표는 비례대표 공천문제를 사과해야 한다”며 “비례대표 공천이야말로 유력 번호를 받으면 당선이 확실시되는데 공천비리를 막겠다는 것에 대한 정반대 공천”이라고 공격을 취하는 등 새정치연합의 비례대표 공천시 공세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공천관리위원회를 출범시켰지만 당 내부적으로 기초의원 비례대표 공천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면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경기지역에서 대승을 거두면서 다수의 비례의원을 배출한 바 있는데다 비례대표의 경우, 여성과 장애인을 배려하도록 법적 장치가 마련돼 공천 포기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예상된다.
이처럼 기초의원 비례대표 공천 여부가 표류하면서 출마를 계획하던 후보자들도 혼란에 빠진 상태다. 새정치연합이 비례대표 공천까지 폐지하면 이들은 비례 출마를 포기한 채 지역구로 출마를 해야 하는 상황인데다 이 경우 당직까지 포기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해야 하는 여건이다.
도내 한 새정치연합 기초의원 비례대표 출마 희망자는 “기초의원 비례 공천을 할지 안할지 결정을 계속 늦추는 것은 선거에 큰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비례 공천 포기 여부를 빨리 결정해야만 후보들도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진욱기자 panic82@kyeonggi.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